'동물매개읽기교육®(R.E.A.D.) 프로그램'은 동물에게 책을 읽어주는 효과적인 방법을 통해 아동들의 읽기 능력(유창성과 이해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한국에서 활동하는 R.E.A.D. 동물은 한국인간동물상호작용연구회(KHAI, 이하 카이)에서 인증받은 치료매개동물로, 핸들러와 팀을 이루어 다양한 기관에서 어린이들의 독서 파트너로 활동합니다.
리딩애니멀은 비판하지 않고 들어주기 때문에 아동들은 긴장을 풀고학습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R.E.A.D.는 아동들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단어 이해의 정확성을 원하거나 배움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닙니다.
독서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능동적으로 읽기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때문에 유창성과 이해력이 향상되는 것 입니다.
왜 R.E.A.D.®인가요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인터마운틴 테라피 애니멀스(ITA)는 1999년 최초로 개에게 책을 읽어주는 문해력 프로그램인 R.E.A.D.를 시작했습니다.
20년 이상이 지난 지금 6천명 이상의 치료매개동물 팀과 관련 단체가 미국 50개 주와 한국을 포함한 29개국(오스트리아, 캐나다, 네덜란드, 독일, 이태리, 영국 등)의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 독서와 책에 대한 즐거움을 일깨워주는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성장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R.E.A.D.는 한국인간동물상호작용연구회(KHAI)와 MOU체결 후 한국 내 R.E.A.D. 자격 등록 권한 및 R.E.A.D. 교육산업 전반을 KHAI에 일임하였으며
카이(KHAI)는 국내 학교, 도서관, 유치원, 방과 후 프로그램 등 다양한 곳에서의 활동 가능성을 예측하며 확장을 위해 노력 중입니다.
치료매개동물 중에서도
리딩애니멀(R.E.A.D.활동 동물)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어떤 기질적 특성을 갖추면 좋은가요?
누워서 껴안겨 있는 것을 좋아하는 동물
차분하고 평온한 상태를 좋아하는 동물
만지고 쓰다듬어지는 적극적인 접촉을 좋아하는 동물
나이가 들기 시작하여 덜 활동적인 환경으로 전환하고 싶은 치료매개동물
READ활동을 하고자 하는 핸들러가 갖춰야 할 자세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1. 리딩애니멀과 호흡을 맞춰 대상자와의 읽기 교육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유능한 독서가, 책 읽기를 즐기고 아동에게 적합한 책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아동을 좋아하고 그들의 어려움을 이해하려 하고
그들에 대해 기억하려는 의지가 필요합니다.
4. 주저하고 과묵한 아동을 기다려줄 수 있어야 하고 지나치게
활동적인 아동에 대해 인내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같은 책을 반복적으로 읽는 것에 대한 인내심과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R.E.A.D.®는 어떤 효과를 가지고 있나요?
동기부여 및 참여도 증진
치료매개동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독서활동에 즐거움을 느끼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독서활동 참여도를 증대시킵니다.
집중력 및 자신감 향상
동물과의 교감을 통해 학생들은 불안, 분노 및 우울감을 잠재우고 집중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책읽기를 완수할 수 있게 되고 책에 대한 이해를 나누면서 성취감을 느끼고 실력이 향상됨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 유능하다고 느끼게 됩니다.
생명존중의 이해
동물의 행동관찰, 책임감 있는 동물 돌보기 등에 대해 배우며 생명존중에 대한 이핼력을 키우고 타자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우게 되면서 사회적 기술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긍정적 정서 변화
가식이나 주저함 없이 자신의 모든 것을 드러내는 동물을 통해, 공감과 감정에 대해 배울 수 있게 되며 자신에 대해 이해하면서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방법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배양시킬 수 있습니다.